교도소 수용자에 대한 성 교차 관리 (cross-gender supervision): 쟁점과 가능성
윤옥경
矯正硏究 vol.29 no.2 (통권 83호) (2019.06) pp.3-31
동물학대의 재범방지 및 처벌강화 인식에 대한 연구 : 성별 및 폭력허용도를 중심으로
김혜선, 박지선
矯正硏究 vol.28 no.3 (통권 80호) (2018.09) pp.51-82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수용자 처우 관련 법령의 정비방향 연구
허경미
矯正硏究 vol.28 no.2 (통권 79호) (2018.06) pp.81-110
교도소 직무환경에 대한 교도관의 인식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윤옥경, 김은영
矯正硏究 vol.26 no.3 (통권 72호) (2016.09) pp.3-25
교정의 미래와 여성교도관의 역할 - 교정조직의 성고정관념 수준과 여성교도관의 역할확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김은영, 윤옥경
矯正硏究 제69호 (2015.12) pp.7-39
수용자 가족방문 실태 및 그 효과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전영실, 신영희
矯正硏究 제45호 (2009.12) pp.279-303
여성범죄자에 대한 性-適合 교정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趙允梧
矯正硏究 제24호 (2004.09) pp.123-143
미국 교정프로그램에 있어 성 인지적 접근 (gender-specific approach)의 도입배경과 프로그램 사례
尹玉卿
矯正硏究 제14호 (2002.03) pp.85-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