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공무원의 지각된 통제감과 직무소진의 관계 :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순차이중매개 효과
이은영, 이창현
矯正硏究 vol.34 no.1 (통권 98호) (2024.04) pp.129-155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정식, 방진희
矯正硏究 vol.29 no.2 (통권 83호) (2019.06) pp.133-158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에 근거한 교정복지 실천으로서 갈등중재 사례연구: Sycamore Tree Project를 중심으로
배임호, 박일연
矯正硏究 vol.28 no.1 (통권 78호) (2018.03) pp.3-25
범죄예방책으로서의 갈등해결을 위한 중재(mediation) 활용에 관한 고찰 : 지역사회내 갈등을 중심으로
배임호
矯正硏究 제67호 (2015.06) pp.75-102
Restorative Justice Dialogue : Three Decades of Victim Offender Mediation Practice & Research in the Global Community
Mark S. Umbreit
矯正硏究 제37호 (2007.12) pp.171-201
非行靑少年을 위한 犯罪被害者ㆍ加害者 仲裁(Mediation)프로그램 實踐可能性
裵任鎬
矯正硏究 제11호 (2000.12) pp.18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