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107-132
미국 문화기관의 디지털 거버넌스: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유니버설’ 뮤지엄 전 략과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45-61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술사와 문화유산의 재발견: 우피치의 영토들과 제도적 전략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27-43
그리스 고고·미술사 연구에서 디지털 전환과 AI 활용 사례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1-25
2000년대 미술이론과 현장: 한국미술이론학회 20년의 학술적 실천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69-190
동시대 한국미술에서 아카이브 기반 실천의 세 가지 유형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25-144
남아프리카공화국 동시대 미술에서 슈퍼히어로의 탈동일시적 차용: 브리짓 베이커와 메리 시반데의 작업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167-199
리하르트 헤르츠의 한국체류기간 (1956-1960) 미술평론과 예술후원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83-109
기술 권력에 대한 미래주의 욕망 분석: 「소음의 예술」 재고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5-34
2000년대 한국 현대미술에서 역사의 귀환: 임흥순, 제인 진 카이젠, 송상희
미술이론과 현장 제36호 (2023.12) pp.137-174
미술이론과 현장 제36호 (2023.12) pp.57-88
미술이론과 현장 제36호 (2023.12) pp.31-55
공적 영역으로서의 미술관: 1980년대 이후 현대미술관의 민영화
미술이론과 현장 제35호 (2023.06) pp.125-153
미술이론과 현장 제35호 (2023.06) pp.93-124
현실 인식을 위한 비판적 예술실천: 소니아 보이스(Sonia Boyce)의 작업에 표상된 인종주의와 흑인여성의 문제
미술이론과 현장 제34호 (2022.12) pp.155-187
정규의 미술비평에 나타난 시대의식: 전후 시기 새로운 한국 현대미술 모색
미술이론과 현장 제34호 (2022.12) pp.57-86
1970년대 중반 한국화단의 평면 양상: 반복 행위가 표상된 드로잉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3호 (2022.06) pp.113-139
주름, 여성, 노년: 15-16세기 독일미술과 ‘벗은 노파’
미술이론과 현장 제33호 (2022.06) pp.85-111
‘예술의 종말’ 그리고 ‘종말의 예술’: 아서 단토의 《9/11의 예술》전시에 대한 소고
미술이론과 현장 제33호 (2022.06) pp.6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