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fashion therapy programs for improving body image and self-esteem - Focused on the male workers -
Yu Rim Kang, Mun Young Kim
복식문화연구 29권 2호 (2021.04) pp.167-184
Consumer characteristics of Body Mass Index groups, and the effect of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 involvement in dieting among females aged 25-49 years
Su-mok Jeong, Eunah Yoh
복식문화연구 28권 5호 (2020.10) pp.591-606
Multidimensional body image, self-esteem, clothing benefits sought, and body image after breast cancer by the surgical subgroup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Eun Ok Lee, YoungJu Rhee
복식문화연구 24권 6호 (2016.12) pp.886-902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이 체중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현진, 정명선
복식문화연구 제19권 제6호 (2011.12) pp.1272-1287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에 따른 패션 트렌드 수용도
신수래, 류숙희
복식문화연구 제13권 제2호 (2005.04) pp.280-288
신체 이미지 , 신체왜곡 및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 태도적 , 지각적 신체이미지 측정을 중심으로 -
송경자, 김재숙
복식문화연구 제7권 제5호 (1999.10) pp.740-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