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emale sublimity represented on Korean fashion designers’ works
지정숙, 이예영
복식문화연구 30권 6호 (2022.12) pp.898-918
Sublimity embedded in the works of internationally recognized Korean fashion designers - Interpretation of in-depth meaning applying Greimas semiotic square -
복식문화연구 30권 5호 (2022.10) pp.752-765
한국 패션 디자인 진흥 정책이 신진 패션 디자이너의 브랜드 운영에 미치는 영향
임보아, 박주희, 이은정
복식문화연구 24권 2호 (2016.04) pp.132-149
H&M 콜라보레이션에 참여한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자체 제품과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활용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연구
이은옥
복식문화연구 제21권 제1호 (2013.02) pp.93-116
슈퍼모던 환경에서 나타나는 패션디자이너의 작품 특성
김완주, 이금희
복식문화연구 제16권 제1호 (2008.02) pp.100-114
패션에 표현된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특성 - 1990 년대 이후의 국내 디자이너 작품을 중심으로 -
김문숙, 최나영
복식문화연구 제6권 제2호 (1998.06) pp.315-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