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두타산과 청옥산 일대 분비나무림의 식생 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4호 (2022.08) pp.413-421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24-36
강원도 양구군 파로호 동부 3개 산지(숫돌봉, 성주봉, 수리봉)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1-2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3호 (2020.06) pp.249-258
DMZ 접경지역 인근 대득봉(철원군, 강원도)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4호 (2018.08) pp.355-372
강원지역 산림유존목의 분포, 동태 및 생육임분의 구성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2호 (2018.04) pp.165-175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소나무 이차림의 대상 벌채에 따른 초기 식생 재생 반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85-790
동강유역미복원매수토지의식생현황및관리방안연구 - 강원도 정선군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43-4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161-170
강원도 원주시 공원녹지의 식재 수종 및 식재밀도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150-16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5호 (2013.10) pp.579-59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5호 (2013.10) pp.579-59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41
송이생산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소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분석 - 강원도 양양군 송이발생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5호 (2012.10) pp.730-740
강원도 삼척 산불피해지역의 복원방법에 따른 곤줄박이(Parus varius) 의 번식생태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75-77
캠퍼스 녹지의 CO2 상쇄효과 - 강원대학교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166-16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2.02) pp.11-3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6호 (2011.12) pp.893-902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소재 국립공원 내 사찰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4호 (2011.08) pp.621-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