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43-44
불암산삼육대 생태·경관 보전지역 서어나무 군집구조 현황 및 위험요인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22
해안사구 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생물다양성 증진방안 -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7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증진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5호 (2023.10) pp.403-4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42-43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금강 상류 댐 유역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4호 (2023.08) pp.289-301
자연기반해법으로서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 독일 엘베강 경관 생물권보전지역과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p.48-49
진관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생 변화 및 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23
자연숲과 VR숲의 경관 체험에 따른 생리 및 심리적 반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5호 (2022.10) pp.525-534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고사 소나무 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예측- 앙상블 모형과 MaxEnt 모형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49
한강 대홍수 이후 밤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수생관속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12
청계산 원터골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1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2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6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3호 (2021.06) pp.294-30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23
국립공원 빛공해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보호지역 빛공해 관리방안 제언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3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18
경관지수를 활용한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분비나무개체군의 서식지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2호 (2020.04) pp.170-178
관악산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회양목군락 식생구조 및 회양목 밀도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