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암산삼육대 생태·경관 보전지역 서어나무 군집구조 현황 및 위험요인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22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금강 상류 댐 유역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4호 (2023.08) pp.289-301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고사 소나무 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예측- 앙상블 모형과 MaxEnt 모형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49
국립공원 빛공해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보호지역 빛공해 관리방안 제언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32
람사르습지와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 현황 분석 - 한강 밤섬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52-53
가치중첩도면 분석을 통한 안동하회마을 식생경관의 재건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17-1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4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71
남북한 접경지역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6호 (2012.12) pp.952-95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95-9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95-9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211-2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2008.10) pp.103-105
제주 생물권보전지역 내 한라산국립공원의 경관분석 : 단편화 현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3호 (2008.06) pp.309-3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2호 (2008.04) pp.128-137
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04) pp.56-70
도시농경지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모델 - 서울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3호 (2002.12) pp.249-26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4호 (1998.03) pp.506-522
GIS와 MESH 법에 의한 경관단위 구분 및 가시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3호 (1997.12) pp.326-33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7권 제2호 (1994.02) pp.231-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