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빛공해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보호지역 빛공해 관리방안 제언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32
남북한 접경지역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6호 (2012.12) pp.952-95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2호 (2012.04) pp.247-25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115-118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3호 (2011.06) pp.389-403
수변녹지 조성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모델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113-1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0.04) pp.178-185
모악산 애기등 군락의 생태적 특성 및 경관생태학적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39-44
도시지역 식생구조의 경관생태학적 해석 -식생경관해석을 위한 군집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15-2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2호 (2008.04) pp.128-137
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04) pp.56-70
도시농경지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모델 - 서울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3호 (2002.12) pp.249-26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1호 (2002.04) pp.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