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용 라이다(LiDAR)를 활용한 3차원 모델 구축과 자연유산 모니터링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14-15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개체 공간정보 구축 및 입지환경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1호 (2020.02) pp.42-54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생태환경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기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43
도시정원 도입을 위한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2호 (2017.04) pp.252-26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6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37-38
생물다양성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한 LOD(Linked Open Data)구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130-13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12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271-27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225-227
국가생물다양성정보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KBIF의 기능과 역할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218-221
국가생물다양성정보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KBIF의 기능과 역할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218-2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3호 (2005.09) pp.287-298
중국 식물원에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보전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1호 (2001.04) pp.1-16
GIS를 응용한 주암 상수원수계의 오염원 DB 구축과 수질관리 생태계모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3호 (1999.12) pp.209-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