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의 특성과 공종 간 영향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5호 (2022.10) pp.481-495
서부 DMZ일원 퇴모·혈구산(인천광역시 강화군)의 식물상 및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1호 (2022.02) pp.1-2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p.52-5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p.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4호 (2017.08) pp.365-38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12-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p.49-50
백두대간 훼손지역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 부소봉에서 삼도봉 구간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53-54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의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4호 (2012.08) pp.550-55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11-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4호 (2011.08) pp.479-489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3호 (2011.06) pp.389-40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3호 (2011.06) pp.267-28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11-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0.04) pp.117-12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0.02) pp.37-4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6호 (2009.12) pp.506-515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인 비누풀(Saponaria officinalis L.)과 노랑도깨비바늘(Bidens polylepis S.F.Blake)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169-17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166-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