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음향 자동분류기술을 이용한 종 분포 특성 및 도래 양상 연구 - 뻐꾸기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53
물들메나무림 군락 특성 및 분포 - 충북 민주지산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35
서양산딸기의 산림군집구조에 따른 분포특성 : 고양시를 대상으로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8-9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33-343
MaxEnt 모형을이용한뉴트리아(Myocastor coypus) 서식지분포예측 - 낙동강 권역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49-50
백두대간 훼손지역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 부소봉에서 삼도봉 구간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53-5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4호 (2012.08) pp.576-587
터널조성 후 이끼분포변화를 통한 건조화 영향 연구 - 사패산터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93-96
마을숲 유형에 따른 수종분포와 관리현황 - 경산시 마을숲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6호 (2009.12) pp.577-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