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유산국립공원 빛공해 현황 및 빛공해가 공원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1호 (2020.02) pp.63-71
덕유산국립공원 구상나무와 주목의 형성층 활동 개시와 적산온도와의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9
한국의 주요 국립공원 내 구상나무군락의 토양 환경 특성 -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7
덕유산국립공원의 미사용 스키슬로프 구간의 식물상 및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78-7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30
덕유산국립공원내남덕유산관속식물의고도별온도구배에따른수직분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651-680
덕유산백두대간보호지역의한반도전통의학약용식물a - 동의보감, 방약합편, 향약집성방-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102
백두대간 소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청화산에서 남덕유산 구간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69
백두대간(향로봉-남덕유산) 구간의조류상a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95-96
국립공원 인공림 식생구조 및 생태적 천이 유도를 위한 간벌 밀도 연구 - 치악산, 속리산, 덕유산, 내장산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4호 (2012.08) pp.604-619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의 군락분류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161-166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사면에 따른 식물상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158-16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71-7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2호 (2011.04) pp.132-144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의 군락분류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161-166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사면에 따른 식물상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158-16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71-7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1호 (2011.02) pp.37-4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6호 (2010.12) pp.708-7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0.10) pp.60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