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6호 (2021.12) pp.579-59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109
도시공원 조경수목 식재 평가 및 평가등급 적용 방안 - 인천광역시 송도 해돋이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4.08) pp.457-471
자전거 도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등급화 연구 -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4.06) pp.365-373
자생 토양 절지동물을 이용한 제주도 토양 등급 분석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103-10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58-5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217-224
전라남도 무안만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 및 갯벌등급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8.10) pp.521-52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2008.10) pp.140-14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1호 (2005.03) pp.63-68
식물종 및 식물군락의 중요도 평가의 기준-식물종 및 식생의 보전등급 설정에의 응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4호 (2004.03) pp.383-395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 - 상록활엽수림 분포 및 훼손등급 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3호 (2002.12) pp.309-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