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칠보치마 자생지의 식물상 및 환경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437-450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인 광릉요강꽃의 개체군 구조 및 지속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5호 (2021.10) pp.548-55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48-6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 Thunb.) 개체군 지속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59-60
묵논은 생활형이 다른 멸종위기식물 13종의 서식지로 재현이 가능할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11
침입종 단풍잎돼지풀이 멸종위기식물 층층둥굴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63
묵논을 활용한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지 재현가능성에 대한 복원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61-62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멸종위기식물 칠보치마(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의 종 보전생물학적 연구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46
CO2 농도와 온도 상승에 따른 멸종위기식물인 황근(Hibiscus hamabo)의 생태적 지위폭의 변화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34-35
기후변화환경하에서멸종위기식물섬시호(산형과)의보전방안마련을위한 광, 수분, 영양소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6.10) pp.803-809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4호 (2016.08) pp.658-675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 현황과 위험요인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3호 (2016.06) pp.291-307
식물공장에서 광질에 따른 멸종위기식물 분홍장구채(Silene capitata Kom.)의 생육, 생리 및 번식생태학적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116
기후변화환경 하에서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산형과)의 보전을 위한 환경요인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82
멸종위기식물 선제비꽃 (Viola raddenana Regel)의 지구온난화 조건에서 수분, 유기물, 광량차이에 따른 번식생태학적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81
지구온난화조건에대한멸종위기식물단양쑥부쟁이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의생태적반응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7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4.08) pp.385-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