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에 의한 표면적 증가와 생리작용이 미세먼지 정화에 미치는 영향 추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4호 (2024.08) pp.426-433
공기 중 음이온과 공간 내 식물용적 변화가 미세먼지 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2호 (2024.04) pp.217-226
서울 청량리 교통섬과 홍릉숲의 미세먼지 특성과 저감효과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5호 (2021.10) pp.569-575
도로변 도시공원 내 공간유형에 따른 초미세먼지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4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5호 (2020.10) pp.466-48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79
산지형 공원 내 보행로 특성에 따른 미세먼지 차이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4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p.67-68
국립공원 자연관찰로 내 미세먼지와 산소음이온의 특성 - 월악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6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p.59-60
도시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수종 선정 기준의 우선순위 도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4호 (2019.08) pp.472-480
유치원 아동 어머니들의 숲체험에 따른 숲과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의 차이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5호 (2018.10) pp.541-55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p.107-108
도심 도로변 가로녹지가 주변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농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산시청 광장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3호 (2018.06) pp.323-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