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사구 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생물다양성 증진방안 -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7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증진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5호 (2023.10) pp.403-414
서울시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 도입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121
진관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생 변화 및 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23
기후변화에 따른 국립공원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군락 보전관리 방안 모색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3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55-56
제주 저지곶자왈 생물권보전지역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시행방안 검토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6
인왕산 생태․경관보전지역 이용 현황 및 관리 방안 마련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10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61-62
불암산 삼육대 생태경관보전지역 탐방로 훼손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56-57
천연기념물 모감주나무군락의 실태조사를 통한 맞춤형 보전관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8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5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13
천연기념물 울릉국화와 섬백리향 군락,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 그리고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의 실태분석 및 보전관리 방안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74
하동군 악양면 습지 내 두꺼비의 개체군 변동과 서식지 보전방안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61
기후변화환경하에서멸종위기식물섬시호(산형과)의보전방안마련을위한 광, 수분, 영양소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6.10) pp.803-80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p.41-4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p.23-2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7-8
백두대간식물상및보전방안 -깃대배기봉~청화산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5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