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음향 자동분류기술을 이용한 종 분포 특성 및 도래 양상 연구 - 뻐꾸기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53
경기도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조성녹지 유형 분류 및 활용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13-14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분류에 관한 고찰 - 식물구계의 역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5호 (2023.10) pp.318-32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104-105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한 IUCN 생태계유형분류 국내 적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3호 (2023.06) pp.209-22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76
박테리아 16s rRNA 영역 분류 방법에 따른 산림 벌채지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7
팔색조과(Pittidae) 생물음향(song) 군집분류 및 지리적 분포 특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7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97
KOMPSAT-3A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산림식생의 임상 분류법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6호 (2018.12) pp.686-697
엽록체 DNA 및 핵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한국산 나문재속(명아주과)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6호 (2018.12) pp.566-574
HMM(Hidden Markov Models)을 이용한 양서류 번식울음 자동분류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41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2호 (2018.04) pp.176-184
Grime의 C-S-R 모델을 이용한 습지식물 유형 분류 및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1호 (2018.02) pp.118-131
한국산 좀개구리밥속(개구리밥과)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한 재고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4호 (2017.08) pp.349-36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2호 (2017.04) pp.220-229
머리뼈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한 한국산 노루의 분류학적 고찰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1호 (2016.02) pp.39-4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p.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