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3호 (2022.06) pp.303-317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분포특성과 개체군의 위협요인 및 지속가능성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3호 (2019.06) pp.303-320
한국에 분포하는 참나무류와 소나무류의 초기정착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일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31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 현황과 위험요인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3호 (2016.06) pp.291-30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91-400
인위적·기후요인이철원지역두루미류월동개체수와 분포에주는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77-78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인위적 요인에 의한 분포양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5호 (2014.10) pp.516-522
지리산국립공원 조릿대군락의 환경요인 및 생장특성과 그 분포가 하층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20-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5호 (2011.10) pp.717-724
지리산국립공원 조릿대군락의 환경요인 및 생장특성과 그 분포가 하층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20-24
강원도 중왕산 지역의 지형 및 토양요인에 따른 고로쇠나무의 분포와 생장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200-207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의 분포요인 및 보전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1호 (2002.04) pp.3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