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고사 소나무 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예측- 앙상블 모형과 MaxEnt 모형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49
영산강 본류구간에서의 인공보 설치 및 개방이 수계 연속성 및 어류군집에 주는 영향 비교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58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토양침식 연구동향 비교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5호 (2020.10) pp.413-424
단일 및 다중 매트릭스 모델의 비교를 통한 항공기-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모델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6호 (2019.12) pp.624-635
산지하천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국제 연구동향과의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2호 (2019.04) pp.216-227
장기 모니터링에 따른 이화학적 수질의 변이 분석 : 백제보 건설 전·후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111
한국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서식지 이용 패턴 비교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4호 (2017.08) pp.397-4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4호 (2016.08) pp.676-68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63
학교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UTCI, PMV, WBGT 비교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4.02) pp.8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