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물들메나무 분포 및 군집구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3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9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1호 (2018.02) pp.39-4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2호 (2017.04) pp.202-219
서양산딸기의 산림군집구조에 따른 분포특성 : 고양시를 대상으로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8-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91-80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22-23
부산광역시 태종대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3호 (2012.06) pp.426-436
관악산 산림의 39년간(1972~2010)의 식물군집구조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68-7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2호 (2011.04) pp.132-14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0.10) pp.547-555
지리산국립공원 피아골과 대성골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동태(I)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8.10) pp.514-5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2호 (2008.04) pp.98-10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2008.04) pp.69-7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7.10) pp.379-38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2호 (2007.05) pp.113-119
월악산국립공원의 산림군집구조 - 영봉 및 도락산 일원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5.06) pp.90-9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5.06) pp.75-82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2호 (2004.06) pp.14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