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 모델을 활용한 산림생물다양성 특정지역 생태계서비스 평가 - 서식지질과 탄소저장량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9권 제2호 (2025.04) pp.179-18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515-529
고해상도 DEM을 활용한 산림 침식 발생지역 추정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25
두만강 하류 밀강 지역의 산림성 포유류 풍부도와 점유율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6호 (2023.12) pp.429-438
산림지역 내 도롱뇽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56-57
산림 식생 복원지역 식생 변화– 무등산국립공원과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12
식재설계에 활용 가능한 식물사회네트워크 시각화 및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산림식생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3호 (2020.06) pp.259-270
덕적군도(德積群島)의 산림관리를 위한 지역주민 인식 조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p.105-10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6호 (2018.12) pp.698-708
한국 중부지역 도시와 산림에 서식하는 매미과 번식울음 특성 차이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12
산림 벌채적지의 21년간 식생구조 변화 - 서울대학교 백운산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6-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71
주민의식을 반영한 반건조지역의 산림농업 전략 - 몽골 엘센타사라이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263-26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71-72
가야산국립공원내 산림지역의 삵(Prionailurus bengalensis) 행동권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207-211
산지계류 수변지역에서 산림벌채 후 지하수위의 계절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4호 (2012.08) pp.620-628
북한지역 산림전용 방지활동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및 탄소배출권 획득 잠재력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169-174
한국과 일본의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종조성과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3호 (2011.06) pp.327-35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0.10) pp.547-555
지역주민의 건강증진과 지역경제 활성을 위한 산림치유의 활용 –일본 동경도 오쿠타마마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15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