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12-13
Landsat-8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산불피해 심각도 판정 및 영향 인자 도출1 - 강릉, 동해 산불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3호 (2024.06) pp.277-29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6호 (2023.12) pp.439-449
지리산국립공원 하동지역 산불발생에 따른 수목탄소저장량 소실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70
Landsat-8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산불피해 심각도 판정 및 영향 인자 도출 – 강릉, 동해 산불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37
산불 후 복원방법의 차이가 번식기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5.08) pp.508-5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71-72
국립공원 산불통제구간내 야생동물 서식현황 분석 ‐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피아골계곡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71-72
강원도 삼척 산불피해지역의 복원방법에 따른 곤줄박이(Parus varius) 의 번식생태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75-7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4호 (2012.08) pp.528-536
산불유형과 회복정도에 따른 낙엽생산량과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 함량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2.02) pp.67-73
영주 산불지역 소나무림의 수관층 연료 특성 및 연소율 추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127-130
강원도 삼척 산불피해지역에서 복원방법에 따른 시기별 설치류의 개체군 특성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2008.10) pp.47-4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7.10) pp.400-4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267-27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4호 (2005.12) pp.385-392
산화가 초본층의 발샐 및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친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2.08) pp.141-14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