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1호 (2018.02) pp.118-13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2호 (2012.04) pp.247-25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1호 (2009.02) pp.66-77
낙동강 상류의 하천변 식생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 I. 삼림 및 관목성 식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4호 (2008.08) pp.443-45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1호 (2007.03) pp.82-9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3호 (2001.12) pp.237-24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4호 (2001.03) pp.252-26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4호 (2000.03) pp.354-36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3호 (1999.12) pp.271-279
대구, 구미, 김천 시역의 팔공산, 금완, 황악산에 분포하는 참나무류 삼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3호 (1999.12) pp.220-23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2호 (1999.08) pp.184-198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1호 (1999.04) pp.70-77
대산.군산공단지역의 대기오염이 삼림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9권 제1호 (1995.08) pp.1-14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II) -주왕산지역 소나무림의 관목층 적정 조사구 면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8권 제2호 (1995.02) pp.150-153
주왕산국립공원 왕거암, 금은광이지구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8권 제2호 (1995.02) pp.142-14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8권 제2호 (1995.02) pp.135-141
주왕산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분석 -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8권 제2호 (1995.02) pp.93-106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I) -덕유산지역 혼효림군집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 면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7권 제2호 (1994.02) pp.187-19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7권 제2호 (1994.02) pp.18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