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녹화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이끼 생장 조건 탐색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46-4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31-3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29-30
6-benzylaminopurine의 엽면살포가 나도풍란 유묘의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83-84
생태복원지에 식재된 낙엽활엽수종의 이식 후 생장량 분석을 통한 관리기간 설정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5호 (2022.10) pp.496-506
시비처리가 붉가시나무 용기묘의 생리 및 생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p.46-47
생장량 분석을 기반으로 한 수변지역 식재수목의 집중관리시기 설정 연구 - 낙동강 수변생태벨트의 식재 소나무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2호 (2021.04) pp.126-134
생태복원지에 식재된 수목의 식재후 년도별 생장량 비교를 통한 관리 시기 설정에 관한 연구 – 낙엽활엽수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p.85-86
백두대간 마루금 복원사업지에서의 5년 경과 후 토양특성 및 소나무 생장 모니터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4호 (2019.08) pp.453-461
백두대간 마루금 복원사업지에서의 5년 경과후 토양환경 및 소나무 생장 모니터링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112
전남 여수지역 곰솔의 현존량 확장계수, 상대생장식 및 임분 현존량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5호 (2018.10) pp.507-512
구상나무 수고생장 속도에 관한 연구 - 지리산 아고산대 vs 청주 미동산수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64
준위협식물인 층층둥굴레 서식지와 개체군 특성 및 기후변화조건에서 광 구배에 따른 유식물의 생장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2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65-66
단색광이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 사상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1호 (2017.02) pp.88-92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칠보치마종자의기내발아와 유묘생장에미치는배지의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18
미세조류 및 해조류 유주자의 피막화를 통한 생장 및 생존율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1호 (2016.02) pp.92-97
한국 태안 정산포와 황도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적 변동과 바지락의 생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6호 (2015.12) pp.884-894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77-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