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악휘봉 구간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생태적 요인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1호 (2024.02) pp.48-54
등산객의 활동이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 군집의 활동 패턴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6호 (2023.12) pp.418-428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호를 위한 야생생물 특별보호구역 및 기타효과적인지역기반보전수단(OECMs) 확대 필요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85-86
산림지역 내 도롱뇽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56-5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1호 (2023.02) pp.70-75
MaxEnt 분석을 통한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서식 가능지역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2호 (2021.04) pp.154-163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24-36
민간인통제구역 내 토지이용변화와 두루미류서식영향분석 및 보호지역 적용방안 - 철원군 이길리 일대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27-2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4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1호 (2019.02) pp.16-2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1
제주지역 서식지 유형별 지표성 딱정벌레류의 분포 및 다양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67
한국 중부지역 도시와 산림에 서식하는 매미과 번식울음 특성 차이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4호 (2016.08) pp.676-683
제주지역에 이입된 뉴트리아(Myocastor coypus)의 서식 현황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p.32-33
고속도로변에 인공습지의 생물서식 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지역 인공습지를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45-46
남북한 접경지역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6호 (2012.12) pp.952-95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5호 (2012.10) pp.682-69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87-89
농촌지역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서식지 선택과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3호 (2012.06) pp.32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