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국립공원 내 북천의 어류군집 특성 및 멸종위기종의 서식양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4호 (2022.08) pp.390-401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쥐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4호 (2022.08) pp.361-36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2호 (2022.04) pp.118-138
신문기록(1926년~2019년)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국립공원 적설(첫 눈) 시기 변화 - 지리산, 설악산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30-31
경관지수를 활용한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분비나무개체군의 서식지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2호 (2020.04) pp.170-17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5호 (2019.10) pp.565-577
Recreation Ecology 관점에서 국립공원 탐방로 개설에 따른 식생 변화 - 설악산국립공원 곰배골 신규 탐방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55
국립공원 국민참여형 제도를 통한 공원환경과 탐방객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설악산 국립공원 그린포인트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70
국립공원 탐방로 개설에 따른 야생동물 출현 변화 - 설악산국립공원 곰배골 신규 탐방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65
주요 국립공원 신갈나무 개엽시기 변화에 관한 연구 - 설악산, 소백산, 지리산, 월출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42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Naemorhedus caudatus) 개체군 크기와 서식지 이용 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10-717
보호지역 이해집단간 환경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설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779-788
경관자원 가시도가 탐방로 선호에 미치는 영향 -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253-262
국립공원 낙엽활엽수림의 탄소저장량 평가 - 북한산, 설악산, 지리산, 속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14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2호 (2012.04) pp.156-18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153-15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1호 (2006.03) pp.29-40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 국립공원과 오대산 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5.06) pp.150-161
국립공원 탐방예약제 시행에 대한 탐방객 의식 조사 - 설악산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04) pp.9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