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순생태계생산량(NEP)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6-7
주요 국립공원 신갈나무 개엽시기 변화에 관한 연구 - 설악산, 소백산, 지리산, 월출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8
한국의 주요 국립공원 내 구상나무군락의 토양 환경 특성 -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7
딥러닝을 이용한 야생동물 자동식별 -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카메라 트랩 영상분석 사례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34-35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내 인공구조물 설치에 의한 야생동물 이용현황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75
산악형 생태탐방로 개발계획에 대한 집단별 의식 및 태도분석 ‐ 소백산 자락길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88-9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217-2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6호 (2010.12) pp.630-637
소백산국립공원 천문대~비로봉구간 능선부 및 훼손복원지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8.10) pp.551-563
소백산국립공원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과 전문가 평가에 관한 연구 - 희방사~연화봉 구간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1호 (2007.03) pp.13-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7권 제1호 (1993.08) pp.58-7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2호 (1993.02) pp.218-22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2호 (1993.02) pp.201-2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2호 (1993.02) pp.193-200
소백산 국립공원내 조류 군집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2호 (1993.02) pp.180-19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2호 (1993.02) pp.168-179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 -소백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2호 (1993.02) pp.162-167
소백산 비로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주목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2호 (1993.02) pp.154-16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2호 (1993.02) pp.147-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