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4호 (2023.08) pp.273-288
학교 숲을 활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다문화배경 학생들의 언어습득 향상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3호 (2019.06) pp.333-340
방문객 유형별 이용객수에 대한 규범적 평가기준, 혼잡지각과 치유경험방해 지각: ‘장성 편백치유의 숲’의 ‘치유필드’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2호 (2018.04) pp.231-243
‘장성 편백치유의 숲’ 방문객 유형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용행태 및 방문동기 요인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2호 (2018.04) pp.203-2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55-56
치유의 숲에서 다른 유형의 소리가 방문객의 기분상태(Profile of Mood States: POMS)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3호 (2016.06) pp.423-43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2호 (2016.04) pp.277-28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66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5호 (2014.10) pp.597-606
혼효림과 잣나무림의 온열환경 분석 - 청태산 치유의 숲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184-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