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3호 (2024.06) pp.338-35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104-10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4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1호 (2023.02) pp.59-6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7
식물군락구조와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2호 (2021.04) pp.164-18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37-47
중국 내몽골 훼손된 건조지 초원의 인공식재에 의한 복원된 식물군락의 천이 및 토양 특성의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10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37-38
지리산 아고산대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구상나무군락(Abies koreana)의 물질생산 및 식물체 탄소분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7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59
자연형 하천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목본 식물군락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33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715-72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p.17-18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습지 주변 지역의 현존식생과 식물군락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4.02) pp.33-4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4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23-28
홍도 천연보호구역의 식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Ⅰ) - 홍도 천연보호구역의 식물군락분류-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154-157
홍도 천연보호구역의 식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Ⅰ) - 홍도 천연보호구역의 식물군락분류-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154-157
새만금 배수갑문 수위조절 특성과 염생식물 군락지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0.04) pp.186-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