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37-4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5호 (2017.10) pp.433-443
도시지역 식생구조의 경관생태학적 해석 -식생경관해석을 위한 군집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15-2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정도리 방풍림의 식물사회학적 구조와 보전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162-165
충북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7.10) pp.432-441
국립공원 덕유산 능선부 등산로 주변 잡초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2호 (2004.06) pp.191-196
경기도 축령산 등산로 주변 잡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3호 (2003.12) pp.232-241
한국 자생 산돌배와 돌배나무의 조성, 분포, 입지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2.08) pp.160-171
덕유산의 침광혼효림에 분포하는 임상선태류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2.08) pp.131-14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25-138
낙동간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04-1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88-98
울릉도 성인봉과 태하령지역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TWINSPAN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57-66
대구, 구미, 김천 시역의 팔공산, 금완, 황악산에 분포하는 참나무류 삼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3호 (1999.12) pp.22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