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관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생 변화 및 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23
청계산 원터골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1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6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3호 (2021.06) pp.294-304
관악산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회양목군락 식생구조 및 회양목 밀도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32
가치중첩도면 분석을 통한 안동하회마을 식생경관의 재건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17-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205-214
청도군 운문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과 식생경관 회복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44-48
수원시 화성(華城) 세계문화유산 내 팔달공원 식생경관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56-59
부산광역시 어린이대공원 경관향상을 위한 인공식생 구조 개선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209-212
도시지역 식생구조의 경관생태학적 해석 -식생경관해석을 위한 군집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15-27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의 구곡경관 개선을 위한 식생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2호 (2009.04) pp.194-207
인천광역시 굴포천변 녹지의 미적 식생경관 기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1호 (2009.04) pp.117-119
CAD를 활용한 도시공원 식생경관 보전방안 - 광주광역시 광주공원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0권 제1호 (1996.08) pp.103-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