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530-548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복원지의 초기 5년간 식생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5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5호 (2022.10) pp.507-524
산림 식생 복원지역 식생 변화– 무등산국립공원과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1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p.9-10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3호 (2021.06) pp.294-304
노을공원 쓰레기매립지 식생복원을 위한 아까시나무 천이방향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15
무등산국립공원 중봉과 누에봉 복원공사지역 식생회복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1호 (2019.02) pp.64-7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2호 (2017.04) pp.174-18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1호 (2017.02) pp.93-10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79-80
송이생산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소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분석 - 강원도 양양군 송이발생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5호 (2012.10) pp.730-740
낙동강 수변 생태복원지 시공 후 4년간(2007~2010년) 식생구조 변화 모니터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5호 (2012.10) pp.707-71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118-1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153-15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6호 (2010.12) pp.723-734
홍수터복원을 위한 국내 현재잠재자연하천 식생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8.10) pp.564-594
소백산국립공원 천문대~비로봉구간 능선부 및 훼손복원지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8.10) pp.551-56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7.10) pp.400-414
청계천 복원공사 전.중.후의 수질과 식물 및 식생의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235-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