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국립공원 탐방로 특성에 따른 야생동물 출현 현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30-31
야생동물의 종자산포에 의한 종다양성 증진과 자연림 복원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10-11
카메라 트래핑을 활용한 시암재 생태통로 야생동물 이용 현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28
딥러닝 기반의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야생동물 객체인식 기초 연구 -국립공원 생태통로 무인센서카메라 영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26
기후적측면에서의 야생동물의 출현현황 및 서식특성 - 멸종위기종 사향노루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91
국립공원 탐방로 개설에 따른 야생동물 출현 변화 - 설악산국립공원 곰배골 신규 탐방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65
야생동물 서식지 확대 사례 보고 -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53
야생동물위치추적기를 이용한 동아시아 저어새(Platalea minor)의 가을 이동경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5호 (2018.10) pp.478-485
입지여건에 따른 낙엽생산과 분포에 관한 연구-야생동물 먹이자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49-50
딥러닝을 이용한 야생동물 자동식별 -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카메라 트랩 영상분석 사례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34-35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내 인공구조물 설치에 의한 야생동물 이용현황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75
백두대간(육십령-덕치)에서식하는야생동물현황과등산객의간섭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38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지 및 야생동물의 종류(곰과 고라니)에 따른 국립공원 방문객의 휴양경험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5.08) pp.615-625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642-649
전문조사원 경험에 의한 야생동물 서식지 예측모형 - 대천천.청라댐 유역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4.08) pp.393-40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15
국립공원 산불통제구간내 야생동물 서식현황 분석 ‐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피아골계곡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71-7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1호 (2013.02) pp.64-70
AHP기법을 활용한 야생동물이동통로의 기능개선을 위한 평가항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6호 (2010.12) pp.763-771
야생동물 로드킬 저감을 위한 일방향 이동통로의 개발 및 효용검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246-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