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너구리 출몰 예측 및 환경 요인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477-489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고사 소나무 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예측- 앙상블 모형과 MaxEnt 모형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49
산림생태계 보호구역에서 외래식물 분포 예측을 위한 최적 모형의 선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6호 (2020.12) pp.589-600
MaxEnt 모형 분석을 통한 남북한 접경지역의 금강초롱꽃 자생가능지 예측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5호 (2018.10) pp.469-477
한국의 보호구역에서 외래식물 분포 예측을 위한 공간 모형 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31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33-343
MaxEnt 모형을이용한뉴트리아(Myocastor coypus) 서식지분포예측 - 낙동강 권역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49-50
전문조사원 경험에 의한 야생동물 서식지 예측모형 - 대천천.청라댐 유역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4.08) pp.393-40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4호 (2011.08) pp.614-6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0.04) pp.101-107
금강 철새도래지 생태관광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5호 (2009.10) pp.460-47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125-12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2호 (2009.04) pp.169-17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2호 (2008.04) pp.113-1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2호 (2007.05) pp.120-12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153-15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5.06) pp.139-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