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화 온도가 맹꽁이(Kaloula borealis)알의 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2호 (2024.04) pp.143-14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3호 (2023.06) pp.192-19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p.125-126
덕유산국립공원 구상나무와 주목의 형성층 활동 개시와 적산온도와의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9
천연림 간벌에 기인한 산림생물량 감소가 산림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3호 (2018.06) pp.303-3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1호 (2018.02) pp.97-104
CO2 농도와 온도 변화가 기생 약초인 천마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57-563
숲가꾸기로 인한 산림생물량 감소가 산림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4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69-70
CO2 농도와 온도 상승에 따른 멸종위기식물인 황근(Hibiscus hamabo)의 생태적 지위폭의 변화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34-35
덕유산국립공원내남덕유산관속식물의고도별온도구배에따른수직분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651-68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55
CO2 농도와 온도 상승이 한국의 주요 재배 벼품종 일미벼의 생육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27
CO2농도와 온도 상승에 따른 백태와 서목태(Glycine max (L.) Merrill)의 식물계절학 및 번식생태학적 반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634-64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122-124
CO2 농도와온도상승이북부와중부주요재배벼품종의생육과 생산량에미치는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7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p.62-6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6호 (2013.12) pp.757-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