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도서지역 상록활엽수 임분의 군집구조와 입지환경 특성 - 제주도, 울릉도, 흑산도, 홍도, 완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9권 제2호 (2025.04) pp.190-204
울릉도에 서식하는 흑비둘기(Columba janthina)의 행동권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9권 제1호 (2025.02) pp.46-5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p.14-15
울릉도 특산식물 선모시대(Adenophora erecta S.T.Lee, J.K.Lee & S.T.Kim) 개체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p.34-3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6호 (2019.12) pp.686-69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221-22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44-47
울릉도 미역고사리(Polypodium vulgare L.) 자생지의 입지환경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2.02) pp.1-1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55-5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52-54
울릉도 고유종인 섬시호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 시호속 식물의 계통과 보전생물학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1호 (2008.02) pp.18-3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1호 (2007.03) pp.82-9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1호 (2007.03) pp.1-12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II) -독도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2호 (2004.06) pp.221-230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I) -섬개야광나무 서식처현황 및 형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2호 (2003.08) pp.133-143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 -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2.08) pp.195-216
울릉도 산림군락의 구조 및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2호 (2000.08) pp.111-118
울릉도 성인봉과 태하령지역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TWINSPAN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57-6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2권 제3호 (1998.12) pp.290-29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2권 제2호 (1998.08) pp.138-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