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중 음이온과 공간 내 식물용적 변화가 미세먼지 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2호 (2024.04) pp.217-226
국립공원 자연관찰로 내 미세먼지와 산소음이온의 특성 - 월악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64
경주 남산 소나무림의 가을철 해발고도별 음이온 발생지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4호 (2018.08) pp.413-424
경주 남산 소나무림의 가을철 해발고도에 따른 음이온 발생지수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68
월악산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지형구조별 음이온 발생량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6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8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79-80
도심지 대규모 공원이 주변 음이온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35-36
양양군 국유림 지역의 음이온 농도와 임상, 숲 관련인자와의 상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0.10) pp.539-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