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하구의 어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수문운영 방안 제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5호 (2022.10) pp.468-480
멸종위기종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시간 및 시기별 이동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46
야생동물위치추적기를 이용한 동아시아 저어새(Platalea minor)의 가을 이동경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5호 (2018.10) pp.478-485
Transmitter 와 Acoustic Echo-Sounder을 이용한 큰입배스의 이동성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0
한국에서의 민물가마우지 Phalacrocorax carbo 의 번식지 분포와 새끼새의 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18
국내중대백로(Ardea alba)의행동권및국가간이동a -대전광역시 백로번식지 이용개체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p.41-4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31
기후변화와 인간의 방해 및 종간경쟁이 두루미 월동생태와 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681-692
어도에서의단기간어류이동성현황및다변수평가모델에대한예비적고찰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97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642-649
어도(Fishway) 및인공보(Artificial Weir)의다각적어류이동성평가기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93
서울시 도봉구 내 산림녹지축 단절지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네트워크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87-88
무등산도립공원 시간대별 탐방객 이동패턴에 따른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6호 (2012.12) pp.960-969
동아시아-대양주 [물새]이동경로 및 위협에 처한 물새 보전, 특히 황해 지역을 중심으로1)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285-29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5호 (2011.10) pp.639-648
AHP기법을 활용한 야생동물이동통로의 기능개선을 위한 평가항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6호 (2010.12) pp.763-771
야생동물 로드킬 저감을 위한 일방향 이동통로의 개발 및 효용검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246-249
전남 칠발도에서 번식한 슴새(Calonectris leucomelas)의 이동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1호 (2009.04) pp.41-42
전남 홍도를 통과하는 벌매(Pernis ptilorhynchus)의 이동 양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1호 (2009.02) pp.50-55
도로개발에 의하여 훼손된 산림지역 생물이동통로 식재계획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3호 (2002.12) pp.32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