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5개 도서지역 상록활엽수 임분의 군집구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22-2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2호 (2018.04) pp.185-202
면봉산 신갈나무림 장기모니터링 조사지 설치과정 및 목본류의 초기임분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13-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9-10
봉화군 장군봉 일대 천연림과 인공조림지내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6호 (2016.12) pp.1032-1046
낙엽송인공림의 간벌강도에 따른 수종 및 임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오대산국립공원 지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5.08) pp.580-58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71-7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2호 (2009.04) pp.220-23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1호 (2009.02) pp.56-6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1호 (2006.03) pp.29-40
벌채적지에서 조릿대 임분의 식생 구조 및 산림식생 발달에 미치는 조릿대의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2.08) pp.149-15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2권 제1호 (1998.04) pp.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