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MPSAT-3A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산림식생의 임상 분류법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6호 (2018.12) pp.686-69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p.12-13
저지대 이차림지역의 매토종자 발아특성 -예산군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705-714
멧돼지(Sus scrofa coreanus Heude)의 임상 교란이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6호 (2012.12) pp.902-910
산불유형과 회복정도에 따른 낙엽생산량과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 함량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2.02) pp.67-73
양양군 국유림 지역의 음이온 농도와 임상, 숲 관련인자와의 상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0.10) pp.539-54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204-20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2008.10) pp.116-118
소규모 개발 사업지의 정밀 임상도(영급) 작성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4호 (2008.08) pp.396-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