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10-11
자연기반해법으로서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 독일 엘베강 경관 생물권보전지역과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p.48-49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 수단(OECM)으로서 기업의 자연 보전 활동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81-91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24-36
한․중 자연보호지역에 대한 비교연구: 관리체계 중심으로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63
생태관광지역 탐방객 영향 및 자연자원 관리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p.91-92
보호지역과 함께 도시의 미래를 재설계 - 도시를 자연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277-28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127-134
운문산 자연휴식년제 지역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0.02) pp.1-13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과 탐방객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 자연휴식년제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6호 (2009.12) pp.585-59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4호 (2009.08) pp.326-332
경기도 민통선이북지역 주민과 공무원의 자연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3호 (2009.06) pp.239-24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7.10) pp.415-431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 III. 몇 개의 히어리 자연집단과 벌채집단 간 개체군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227-234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남덕유산 -소사고개 구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2호 (2004.06) pp.158-166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04) pp.9-17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3호 (2002.12) pp.223-232
수도권 지역 아까시나무림의 식생구조의 자연성 복원 모델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59-17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4호 (2001.03) pp.287-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