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51-52
야생동물의 종자산포에 의한 종다양성 증진과 자연림 복원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10-11
생물음향을 이용한 조류 종다양성 분석– 제주 동백동산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2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p.13-14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식생권 종다양성 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9
도시하천의 생태계 구조에 따른 야생조류 종다양성 증진 방안 -진수지 남강 도심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p.70-71
낙동강 신규조성 습지의 어류 분포와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3호 (2018.06) pp.274-288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2호 (2018.04) pp.176-18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65
낙엽활엽수림과 침엽수림 내 매토종자의 종구성 및 종다양성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41-43
식생구조 관리를 위한 한국 미황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및 종다양성 분석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4호 (2011.08) pp.540-56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2호 (2011.04) pp.145-155
자연휴양림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 경기도 축령산자연휴양림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4호 (2010.08) pp.351-36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2호 (2009.04) pp.135-14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4호 (2006.12) pp.407-414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 지역의 산림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122-12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114-121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1호 (2005.03) pp.55-62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04) pp.9-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4호 (2002.03) pp.354-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