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생물권보전지역 탐방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 운곡람사르습지 외 고창군 전역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45
도심지역 개발에 따른 장기간 어류 생태적 특성 변화 및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111
DMZ 일원 훼손지역의 자생식물 활용 생태복원기술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66-6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91-92
남북한 접경지역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6호 (2012.12) pp.952-95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127-134
강원도 정선군 백운산 High 1 스키장 슬로프 개발 지역의 주목 생육현황 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4호 (2009.08) pp.302-308
경기도 민통선이북지역 주민과 공무원의 자연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3호 (2009.06) pp.239-249
한국 수도권 도시의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비오톱유형 분류 및 평가모형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1호 (2009.04) pp.138-14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7.10) pp.400-414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 III. 몇 개의 히어리 자연집단과 벌채집단 간 개체군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227-234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헙력 모델 개발 I.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5.06) pp.162-176
관광개발의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원주시 간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3호 (2003.12) pp.268-275
도로개발에 의하여 훼손된 산림지역 생물이동통로 식재계획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3호 (2002.12) pp.32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