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국립공원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군락 보전관리 방안 모색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31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임분동태 및 환경인자의 상관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p.21-22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개체 공간정보 구축 및 입지환경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1호 (2020.02) pp.42-5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3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6호 (2015.12) pp.929-935
침엽수 인공림에서 강우사상별 계류수 수질의 유출특성 변화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6호 (2015.12) pp.917-922
기후변화와 토양 내 질소가 상록침엽수인 소나무와 잣나무 그리고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80
저지대 이차림지역의 매토종자 발아특성 -예산군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705-714
낙엽활엽수림과 침엽수림 내 매토종자의 종구성 및 종다양성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41-43
식재 침엽수 숲길과 숲 가장자리 분포 식생 및 매토종자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4호 (2008.08) pp.409-4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3호 (2008.06) pp.332-337
도시 침엽수에 의한 연한 CO2흡수 및 대기정화-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18-124
산성비 및 대기오염물질이 침엽수 잎에 미치는 피해의 조기판단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7권 제2호 (1994.02) pp.252-269
인공산성우가 몇 침엽수종의 종자발아, 생장 및 침엽에 미치는 영향(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7권 제1호 (1993.08) pp.10-21
인공산성우가 몇 침엽수종의 종자발아, 생장 및 침엽에 미치는 영향(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1호 (1992.06) pp.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