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 모델을 활용한 산림생물다양성 특정지역 생태계서비스 평가 - 서식지질과 탄소저장량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9권 제2호 (2025.04) pp.179-189
지리산국립공원 하동지역 산불발생에 따른 수목탄소저장량 소실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70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식생권 종다양성 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9
한라산국립공원내 제주조릿대의 탄소저장량을 통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23-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3호 (2016.06) pp.399-405
도시공원 식재유형별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및 토양호흡량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142-149
국립공원 낙엽활엽수림의 탄소저장량 평가 - 북한산, 설악산, 지리산, 속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14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0.10) pp.59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