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마루금 복원사업지에서의 5년 경과후 토양환경 및 소나무 생장 모니터링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112
한국의 주요 국립공원 내 구상나무군락의 토양 환경 특성 -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7
Recreation Ecology 관점에서 신규 탐방로 개방에 따른 물리적 환경 변화 - 토양경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5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431-440
집적한 산림표토의 환경조건이 매토종자와 토양동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208-212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군락지의 식생분석 및 토양환경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169-173
점봉산 천연보호림에서 서식환경 차이에 따른 토양날개응애 군집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6호 (2007.12) pp.536-543
하반 식생의 입지 적정성 분석-미지형 토양환경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93-200
광양만 임해매립지 곰솔 식재지역 토양환경의 수직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86-192
치악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권 제1호 (1988.12) pp.5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