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습지 조성 후 환경변화가 잠자리목의 종수 및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 파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6호 (2020.12) pp.515-529
강릉 왕산면 목계리 일대의 친환경벌채지 식생 및 곤충상 변화 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4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1호 (2020.02) pp.55-62
태백산국립공원 백단사코스의 고도별 관속식물상 변화와 환경요인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4호 (2019.08) pp.378-401
국립공원 국민참여형 제도를 통한 공원환경과 탐방객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설악산 국립공원 그린포인트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70
기후변화와 다양한 환경기울기가 떡갈나무(Quercus dentata)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110
Recreation Ecology 관점에서 신규 탐방로 개방에 따른 물리적 환경 변화 - 토양경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59
칠산도 저어새(Platalea minor) 서식환경 및 행동권 변화 분석: 유조의 하절기 서식특성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14
기후변화환경하에서멸종위기식물섬시호(산형과)의보전방안마련을위한 광, 수분, 영양소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6.10) pp.803-809
한국 고창군 하전 갯벌의 미세조류 및 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43-752
기후변화환경 하에서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산형과)의 보전을 위한 환경요인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8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4.06) pp.314-325
연안 갯벌에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usis) 이식에 따른 퇴적 환경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68
조림지 개벌에 의한 빛환경 변화가 식생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122-126
단독주택지 담장허물기 사업에 의한 도시환경 변화 특성 및 개선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219-222
건축물 및 녹지배치가 외부 열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280-283
해송해안림 임분내의 빛환경의 변화와 지엽현존량과의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49-5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2008.04) pp.65-68
관리행정자료 분석을 통한 공원관리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월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1호 (2008.02) pp.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