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너구리 출몰 예측 및 환경 요인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477-48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23
맹꽁이(Kaloula borealis) 음성활동성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4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p.49-50
흑산도 조류 종 및 환경 요인에 따른 번식 후 조류 최적 서식지 탐색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57
태백산국립공원 백단사코스의 고도별 관속식물상 변화와 환경요인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4호 (2019.08) pp.378-401
매미과 울음 시작 및 종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 참매미, 말매미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3호 (2018.06) pp.342-35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72
멸종위기종 금개구리의 번식울음 특성 및 환경영향 요인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65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77-784
기후변화환경 하에서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산형과)의 보전을 위한 환경요인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82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p.70-7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91-400
야생조류 새벽 지저귐 개시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과 종간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44-352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715-72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31
빛공해 및 환경요인에 의한 박새의 새벽 Song 시작시간 영향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4.08) pp.411-41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p.39-4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p.17-18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가로환경 영향요인 분석 연구 - 서울시 관리도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2호 (2013.04) pp.253-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