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 모델을 활용한 산림생물다양성 특정지역 생태계서비스 평가 - 서식지질과 탄소저장량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9권 제2호 (2025.04) pp.179-18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51-52
해안사구 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생물다양성 증진방안 -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7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보전목표 성취를 위한 우리나라 OECM 발굴방향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4호 (2023.08) pp.302-314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대응을 위한 기타 효과적인 보전수단(OECM) 등재 현황 및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p.41-42
낙동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변화와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2호 (2022.04) pp.150-164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식생권 종다양성 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9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대중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47
민통선이북지역(DMZ) 서부평야 일대의 수생태계 생물다양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6호 (2018.12) pp.603-617
낙동강 신규조성 습지의 어류 분포와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3호 (2018.06) pp.274-288
Hanabusaya asiatica 분포지역 예측을 통한 Key Biodiversity Area 설정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2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4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p.94-9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41-42
생물다양성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한 LOD(Linked Open Data)구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130-13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106-107
조류DB를 이용한 모바일 앱 개발과 생물다양성콘텐츠 연계서비스 계획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9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90-96
국가생물다양성정보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KBIF의 기능과 역할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218-221